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흉곽 출구 증후군 - 정의, 증상, 진단, 치료 [광주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안녕하세요~

광주 북구 첨단 2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흉곽 출구 증후군에 대해 알아볼까요?

- 목, 어깨, 팔, 손에 영향을 주는 증상과 징후가 나타납니다.

- 상견갑대와 첫 번째 늑골사이의 좁은 간격을 통과하는 상완신경총, 쇄골하 동정맥 등의 구조가 압박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 이들 구조들은 각각 또는 같이 침범될 수도 있으며, 증상은 종종 팔을 머리 위로 올릴 때 악화됩니다.

- 20세~50세 사이의 여자에서 가장 흔히 나타납니다.

 

증상

- 신경압박 시: 대부분의 증상의 원인이 이것 때문입니다. 팔, 전완, 손의 척골신경 분포 부위의 지각 이상은 종종 팔꿈치에서의 척골신경 포착 시와 증상이 유사합니다. 지각이상과 함께 팔과 어깨, 목에 둔하고 쑤시는 듯한 통증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두통, 근력약화, 조화운동 소실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장애도 나타나지만, 흉곽 증후군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인지 아니면 그 결과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진단

- 어깨가 내려앉으면 늑골과 쇄골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신경과 혈관이 압박될 위험이 증가됩니다.

- 팔의 종창이나 색조변화를 관찰하고, 종괴를 배제하기 위해서 쇄골 상방와 부분을 촉지합니다. 아래 기술된 유발검사를 시행 시, 이 부위에서 잡음을 들을 수도 있습니다. 상완신경총 부위를 부드럽게 촉지하거나 가볍게 두드릴 때, 팔과 손으로 방사되는 지각이상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경추 추간판 탈출이나 경추 골관절염을 시사하는 목의 운동 제한이 있는지를 검사합니다.

- 어깨에서 충돌증후군의 징후나 불안정성의 징후가 있는지 검사합니다.

- 상지의 운동 및 감각검사를 합니다.

- 흉곽 출구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몇가지 유발검사 결과를 양성으로 판정하려면, 환자가 검사들을 정확한 방법으로 잘 따라야 한 경우여야 합니다.

1) Adson's test: 팔을 옆으로 놓고, 목은 신전시키며 머리는 병변쪽으로 돌리도록 한 상태에서 요골동맥의 맥을 촉지합니다. 이때 맥이 없거나 감소되는 것은 목에서 전사각근에 의해 혈관이 압박됨을 시사합니다.

2) 어깨를 뒤로 젖혀 군인의 차렷자세를 취하는 늑쇄동작: 어깨를 뒤로 젖히면서 밑으로 당겨지도록 합니다. 이때 쇄골이나 소흉근에 의해서 쇄골하 동맥이 압박되면 맥이 소실될 수 있습니다.

3) Elevated arm stress test: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합니다. 병변이 없으면 이 동작을 3분까지 계속 할 수 있으나, 흉곽 출구 증후군 환자는 30초 내에 통증과 함게 피로를 호소하게 됩니다.

치료

- 대부분의 환자가 근력강화와 자세교육 운동에 초점을 둔 물리치료 프로그램으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 프로그램은 석달간 계속 되어야 하며,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을 피하고, 병변쪽 어깨에 브래지어, 핸드백, 또는 안전벨트 같은 각종 띠들이 둘러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환자의 증상을 유발시키는 팔의 자세가 반복되지 않도록 합니다.

-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므로, 허리를 쭉 펴고 올바른 자세로 서 있는 법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NSAID, 근육 이완제, 피하 신경 전기자극, 체중조절도 증상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경늑골 같은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 물리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으며 수술을 고려하도록 합니다. 수술 시의 성공율이 다양하고 합병증도 일어날 수 있으므로 수술하기 전에 모든 환자에서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적극적으로 해보아야 합니다.

 


 

오늘은 흉곽 출구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더 유용한 정보 들고 오겠습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