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어깨 뼈 - 견갑골, 상완골, 쇄골 [광주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안녕하세요~

광주 북구 첨단 2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어깨 뼈에 대해 알아볼까요?

견갑골

견갑골 얇은 뼈로서 주로 근육들의 부착부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견갑골의 내측단은 척추와 평행하고 외측단과 상측단은 비스듬하여 상측, 외측, 그리고 하측각을 가집니다. 하측 각은 제 7 흉추와 제 8 흉추 사이의 높이에 위치합니다.

견갑골에는 네 개의 뼈돌기가 있습니다. 견봉 (어깨봉우리), 오구, 견갑극, 관절돌기 등입니다.

견갑골의 배부는 볼록하며 견갑극에 의해 극상와와 극하와로 나뉘게 되고 각각에 해당되는 근육들, 즉 극상근과 극하근을 포함합니다. 견갑극은 견갑골 내측단의 상 1/3과 중 1/3이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하는데 이 부분의 견갑극은 편평하고 제 3 흉추의 극돌기의 높이에 해당됩니다. 견갑극은 외측으로 갈수록 더 튀어나오게 되며 뒤쪽으로 90도로 꺾어져서 견봉을 만납니다. 이렇게 꺾어지는 각은 쉽게 만져지므로 견부의 중요한 골기준점이 됩니다. 견봉은 앞쪽으로 더 꺾어져 상완골두의 일부를 덮게 됩니다.

오구돌기는 견갑골의 앞쪽에 있습니다. 쇄골하와의 외측부에서 외측을 향하고 있는 오구돌기의 끝을 쉽게 만질 수 있습니다. 오구돌기에서 아래로 내려가면 견갑골의 전면을 볼 수 있는데 견갑하근을 포함하는 비교적 넓고 오목한 면을 가집니다.

관절와는 견갑골의 경부 바로 위쪽에 있는 외측각에 있습니다. 상완와는 전외측, 그리고 약간 머리쪽으로 기울어진 얕은 면을 가집니다. 상완와의 크기는 상완골두 크기의 4분의 1에 불과하며, 이렇게 작은 크기와 얕은 오목함으로 인해 상완와관절에 매우 높은 운동성을 부여하는 반면, (아)탈구의 위험도 높이게 됩니다.

견갑골의 전부는 편평하고 전거근이 붙는 내측단과 하부각 외에는 모두 견갑하근의 부착부가 됩니다.

상완골

상완골두의 관절면은 내측, 후측, 그리고 약간 꼬리쪽을 향하며 해부학적 경부에 의해 대결절, 소결절과는 분리되어 있습니다.

팔의 전면을 앞을 향하도록 하여 몸통 옆에 붙여 늘어뜨리는 경우 대결절은 외측에 있고 소결절은 앞쪽에 위치합니다. 이들 두 결절은 이두구에 의해 나뉩니다.

쇄골

쇄골은 흉골과 견봉을 연결합니다. 견봉의 내측은 볼록하고 외측은 오목합니다.

흉골쇄골관절과 견봉쇄골관절의 관절낭은 몇 개의 인대로 강화되어 있습니다. 쇄골에는 많은 근육과 인대가 부착됩니다. 특히, 오구쇄골인대의 부착부가 실제적으로 중요합니다. 이 부착부는 쇄골의 아래 측면의 외측에 있는데 그 부착부의 바로 내측에는 쇄골하근육의 기시부가 있습니다.

쇄골은 견갑골과 흉골 사이의 버팀목 역할을 하며 견갑대를 지지합니다. 쇄골은 S자 모양으로 생겨서 팔을 들어올릴 때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에 비해 훨씬 많은 회전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흉골쇄골관절인대보다 견봉쇄골관절의 인대에서 훨씬 많은 병변이 생기는 것입니다.


오늘은 어깨 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더 유용한 정보 들고 오겠습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