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테니스엘보, 골프엘보 - 팔꿈치의 구조 [광주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안녕하세요.

광주광역시 팔꿈치 수술 후 재활병원

더나은병원 입니다.

오늘은

테니스엘보, 골프엘보가 잦은

팔꿈치 관절(주관절)의 구조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팔꿈치 관절은

상지의 중간에 위치한 관절로

음식물을 입으로 가져가는데

크게 기여하는 관절입니다.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을 보면

팔꿈치를 펼쳐 전완을 회내시켜

음식물을 잡고,

팔꿈치를 구부리고 전완을 회외시켜

입으로 가져오게 됩니다.

음식물을 가져오는 과정은

우리가 알통근육으로 알고있는

상완이두근의 작용이 강해

섭식근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팔꿈치 관절의 관절면

상완골의 원위부 끝에는 요골과 척골이

관절을 이루는 2개의 관절면이 있습니다.

내측은 활차 모양의 관절면으로

가운데가 오목한 도르래의 모양을 하고 있고

두개의 볼록한 형태의 순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고 척골의 활차 절흔

관절을 이루게 됩니다.

척골의 활차절흔 뒤쪽으로는 주두,

앞쪽에는 구상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돌기가 들어 갈 수 있게

상완골 앞과 뒤에는 오목면이 있습니다.

상완골의 뒷면에는 주두와,

앞면에는 구상돌기와가 있어

팔꿈치 관절의 관절범위를

확장시키게 됩니다.

또한 상완골의 활차는 상완골체에서

전방 45도 방향으로 휘어있고,

척골의 활차 절흔도 척골체에 비해

전방으로 45도 휘어있어

척골의 구상돌기와 상완골의 구상돌기와는

팔꿈치를 최대 신전했을 때 접촉하게 되고,

최대 굴곡했을 때에도 근육이 사이에

존재하게 되어 상완골과 척골은

분리되어 유지되게 됩니다.

상완골 원위부 외측에는 소두가 있어

요골두와 관절을 이루게 됩니다.

요골과의 관절 같은 경우에도

골곡시에 상완골의 요골와로 들어가게 되어

관절의 범위가 증가하게 됩니다.

상완골의 활차는

해부학적으로 여러가지 형태를 띄게됩니다.

이러한 형태는 팔꿈치관절의

굴곡과 신전의 방향을 다르게 만들고

운반각을 형성하게 됩니다.

운반각은 남자는 5~10도,

여자는 10~15도로 이루어 지게 됩니다.

팔꿈치 관절의 역학적 변화는

근육의 과사용을 촉진하게 되고

이후 테니스엘보, 골프엘보 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됩니다.

또한 팔꿈치 수술 및 고정 이후

이러한 관절의 적합성을 정확하게

고려하지 않으면 관절의 움직임 제한을 초래하는

주요 요인이 됩니다.

환자의 해부학적 상태에 따른

정확한 진단 이후 관절움직임 회복을

위한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다음은 팔꿈치 통증에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gTDCPKdzso 

https://www.youtube.com/watch?v=FCnhvR69WbY 

 


오늘은

테니스엘보, 골프엘보가 잦은

팔꿈치 관절(주관절)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더욱 알찬 재활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