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어깨 관절의 구성 - 관절와상완관절, 견봉하공간, 견봉쇄골관절, 흉골쇄골관절, 견갑골흉곽 활주기전 [광주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안녕하세요~

광주 북구 첨단 2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어깨 관절의 구성에 대해 알아볼까요?

관절와상완관절

관절와상완관절은 상완골두와 관절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절구관절입니다. 상완골두와 관절와 사이의 형태학적 관계는 관절와상완관절의 상당한 운동성과 불안정성 모두에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먼저, 상완골두의 넓은 관절면이 매우 작고 얕은 견갑골의 관절와에 닿아 관절을 이루게 되는데 관절와는 상완골두 전체 면적의 25~30% 정도만 접촉할 뿐입니다.

두 번째는, 관절와는 편형하고 상완골두는 둥그스름하여 관절을 이루는 두 개의 관절면이 매우 불일치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절면의 불일치는 관절연골의 두께로 인해 최소화됩니다. 수비게 말해 관절와의 관절연골은 중심부에서 가장 얇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반면,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를 가져서 관절와상완관절의 운동에서 상완골두와 관절와의 관절면이 일정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관절순은 관절와의 테두리를 돌아가며 구성되는 섬유조직이며, 관절낭과 인대들, 그리고 상완이두근장두의 건이 붙는 고정장치의 역할을 하며, 관절와 함몰을 깊게 만들어 상완골두와의 접촉면을 넓게 해 주고 상완골두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절와상완관절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합니다.

관절낭의 활액막은 관절순에 주로 부착되고 관절낭의 내 측을 덮고 있으며 상완골의 해부학적 경부에서 끝납니다. 활액막은 또한 상완이두근의 장건의 관절내 부위와 결절간 부위를 둘러싸게 됩니다.

관절낭의 섬유질 부위는 매우 느슨하고 팔의 위치에 따라 몇 개의 함요가 있습니다. 관절낭의 가장 아래쪽에 겨드랑 함요가 있어 팔을 정상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하며 이곳에서 유착이 자주 발생합니다.

관절낭은 크고 느슨하고 여분의 조직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관절와상완관절의 관절강은 상완골두보다 훨씬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깨관절이 자유롭고도 충분한 관절 가동범위를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은 관절낭의 위쪽, 뒤쪽, 앞쪽을 강화합니다. 이 근육들은 그들의 건을 관절낭과 인대에 부착함으로써 회전근개 근육을 선택적으로 수축하여 관절낭, 인대의 긴장도를 조절하고 동적 인대로 작용하게 됩니다.

견봉하공간

상완골 상부활주기전은 한쪽에는 오구견봉아치로 이루어지고 그 상대측은 회전근개와 이두건으로 덮여있는 상완골의 근위부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 두 부위는 견봉하점액낭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견봉하점액낭이 마치 관절공간의 역할을 합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정상 어깨 관절의 기능을 위해 오구견봉아치와 회전근개의 접촉 및 이를 통한 부하의 이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선 관절와상완관절낭과 견봉하점액낭이 서로 통하지 않지만 회전근개의 파열이 있는 경우는 서로 소통할 수도 있습니다.

견봉쇄골관절

견봉쇄골관절은 견갑골과 쇄골이 만나는 유일한 관절입니다. 견봉쇄골관절 속에는 관절디스크가 있는데 디스크의 중심부는 뚫려있는 경우가 많으며, 견봉쇄골관절의 관절낭의 상측, 전측, 후측부는 하측 관절낭에 비해 두껍습니다.

견봉쇄골관절의 전후방 안정성은 견봉쇄골인대에 의해 유지되고 수직안정성은 오구쇄골인대에 의해 유지됩니다.

흉골쇄골관절

쇄골은 상지와 몸통을 연결하는 유일한 골구조입니다. 쇄골의 내측단은 흉골병의 상측외측각, 제1늑골의 연골부 내측부와 맞닿아 견봉하점액낭흉골쇄골관절을 구성합니다. 흉골쇄골관절에서 전후방과 상하방으로 모두 쇄골부가 흉골부에 비해 커서 쇄골이 흉골에 비해 위쪽, 뒤쪽으로 튀어나오게 됩니다. 쇄골의 튀어나온 부분을 만질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흉골쇄골관절은 모든 방향 모든 축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며 견갑골이나 팔이 움직이는 모든 경우에 대해 항상 어느 정도의 흉골쇄골관절의 움직임이 동반됩니다.

흉골쇄골관절의 관절낭 아래쪽은 얇으나 앞쪽으로는 전측 흉골쇄골인대, 뒤쪽으로는 후측 흉골쇄골인대, 머리쪽으로는 쇄골간인대로 강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쇄골간인대는 흉골 위로 연장되어 단단하게 부착됩니다. 흉골쇄골관절낭 아랫부분의 바로 외측에는 늑골쇄골인대가 위치하며 이 인대는 쇄골의 내측단을 제 1늑골의 연골부에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관절강내 반원판은 가장자리에 관절낭이 붙고 쇄골과 제 1늑골의 연골이 붙는데 흉골쇄골관절을 두 개의 분리된 관절강으로 나눕니다.

좌측 흉골쇄골관절의 바로 뒤쪽엔 총경동맥이 지나가고 우측관절뒤엔 무명정맥이 지나갑니다. 어느쪽이건 주삿바늘을 찌를 때 이 두 가지 구조물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견갑골흉곽 활주기전

전거근과 견갑하근은 견갑골과 흉각 후면 사이에 끼여있습니다. 정상적으로 견갑골은 흉곽 위에서 회전, 활주, 경사 등의 운동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견부의 정상적인 운동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운동이며, 흉곽 후면이 불규칙해지는 것과 같이 이러한 구조물들에 문제가 생기면 팔이나 견갑골이 움직일 때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어깨 관절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더 유용한 정보 들고 오겠습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