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광주 북구 첨단 2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손목 통증, 손목염증, 손목건초염
손목을 뒤로 젖힐 때 아프다면
무엇이 문제인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손목 신전 저항
통증
신전 저항시 통증은 손목과 손가락 신전근의 병변을 암시합니다. 움직임은 손목 주위를 손상시키며 여기에는 원위부 근육들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손목과 손가락 신전근의 감별 진단은 손가락을 이완시키거나 능동적 굴곡 후 신전시키는 검사를 통해 가능한데, 이는 손가락 신전근 움직임의 제한을 의미합니다. 손목 신전근이 결함이 있을 때에는 저항 요골측과 척골측 편위 검사를 통해 요골 신전근과 적골 신전근 이상을 감별할 수 있습니다.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의 병변은 주로 과다사용에 의해 일어나며, 운동하는 도중에 국소적인 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저항 신전과 손목의 척골측 편위 시에는 손목 관절의 배측과 척골측의 통증을 유발합니다. 최대 수동 굴곡은 통증을 유발하지만 보통은 증상이 없습니다.
심부횡마찰 마사지
의자에 앉아 손을 편하게 의자에 올린 뒤 손을 의자의 가장자리에 늘어뜨려 놓습니다. 치료자는 환자 손의 측면에 앉고 한손으로는 건을 스트레칭 하기 위해 환자의 손목을 굽힙니다. (통증을 유발하는 정도로 굽혀서는 안 됩니다.) 다른 한 손으로는 중지로 검지를 위에서 받쳐주며 통증이 심한 부위를 찾아 위치시킵니다. 손목의 척골측에 엄지로 역압을 가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치료자 방향으로의 능동적인 전후 왕복 운동입니다. 마찰은 손목의 건의 요측에서 시작하여 손가락이 건을 지나갈 때 운동을 반복합니다.
주사
이 치료법은 유착 관절염이 둘째 셋째 중수근골의 기저부에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아픈 부위를 찾아 트리암을 주입합니다. 약물의 주입은 근육의 저항이 느껴지고 바늘 끝이 뼈에 닿을 때 시행합니다. 시술하는 동안 통증 부위를 촉지하며 주입한다면 좀 더 정확히 할 수 있습니다.
척측수근신근
상지에서 두 번째로 흔한 건활액막염의 부위이며, 이곳의 병변은 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했거나 류마토이드 컨디션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검사 시 저항 신전이나 저항 척골 편위 검사를 통해 손목의 배측과 척골 부위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수동적 척골측 편위는 척골 부위의 통증을 유발합니다. 요골측 편위시 손을 촉진하면서 통증 부위를 판별합니다. 세 가지 부위에서 통증이 가능합니다. 다섯째 중수근골의 기저부에서의 건과 골막부위, 삼각골와 척골의 머리 사이, 그리고 척골의 원위부의 고랑에서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수동적 회외운동에 의해서도 통증이 나타납니다.
심부횡마찰 마사지
회내 운동된 손은 의자 위에 올린 후 치료자는 환자 손에서 내측으로 앉습니다. 손을 요측으로 위치한 후 힘줄이 스트레칭 되게 합니다. 통증의 범위에 따라 중지로 검지에 힘을 가하거나 1~3개의 손끝으로 마찰을 가합니다. 역압은 전완의 요측과 원위부에 가합니다. 손가락은 환자 힘줄의 손바닥 방향에 놓은 후 힘줄 위로 움직입니다. 위아래로 마찰을 가하며 반복합니다.
건골막 접합부에 주입술
환자의 전완은 의자 위에 놓습니다. 트리암을 다섯째 중수근골의 힘줄접합 부위에 주사합니다. 나머지 한손으로는 주입 부위가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척측수근신근과 관련 구조물
이 구조물은 원위부 척골요골간 관절과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와도 가깝습니다. 별개의 힘줄 피막들은 요척골 관절과 근위부에서 섞이며 원위부로는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와 만납니다. 이는 이 수준에서 전해지는 스트레스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손목의 저항 신전과척골편위는 안쪽 구조물 병변의 양성을 의미합니다. 그 반대도 타당성이 있습니다. 수동적인 회외 운동은 척측수근신근의 병변을 더 악화시킬 수 있으며, 모든 검사는 올바른 자세에서 시행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고유시지신근
이 근육의 병변은 흔하지는 않으나 과도한 사용으로 유발될 수 있습니다. 손목의 배부와 척골측면의 통증은 손가락 이완 상태에서 저항 신전 때 느낄 수 있으나, 손가락을 능동적으로 굽혔을 때는 통증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 병변은 개개의 손가락이 저항에 반하여 펼쳐졌을 때 확연이 나타나며, 이 병변이 힘줄의 손목범위에 놓여있음을 촉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움직임이 있는 동안 마찰음이 들리기도 하는데, 몇 번의 심부마찰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지신근
힘줄확액낭염은 기계적인 것이든 류마티스 질환이든 손목 근처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여기에 힘줄들이 공통 활액막 안에 모여있으며, 이곳 손목의 배측에서 통증을 일으키게 합니다. 저항 신전 운동은 손가락의 수동적인 굴곡처럼 증상을 나타나게 합니다. 힘줄을 스트레칭 하기 때문입니다. 류마티스성 힘줄활액낭염은 나타나는 현저한 증상과 중둥도 징후 사이의 불일치로 특징지어집니다. 촉진으로 정확한 위치를 살펴볼 수 있고, 기계적인 힘줄활액낭염에 마찰음이 동반됩니다.
기계적인 형태는 트리암을 힘줄과 활액막 사이에 주입하거나 수회의 심부횡마찰로 반응을 얻을 수 있고 류마티스성 형태에서도 트리암시놀론 주입이 유일한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손목신전근 강화를 위한 소도구 운동 및 스트레칭입니다.
- 손목, 손가락 강화를 위한 소도구 운동
오늘은 손목 통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더 유용한 정보 들고 오겠습니다.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더나은 재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꿈치 통증, 골프엘보(내측상과염) 치료 [광주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6.08 |
---|---|
무릎통증과 나사잠김현상(Screw home motion)에 대해 [광주 재활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6.03 |
테니스엘보 - 병리적 양상, 병력, 주사치료,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고정, 테이핑 [광주 팔꿈치 수술 후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6.01 |
어깨소리, 어깨통증을 일으키는 어깨 인대와 점액낭 [광주 어깨 오십견 수술 후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5.31 |
어깨 관절의 구성 - 관절와상완관절, 견봉하공간, 견봉쇄골관절, 흉골쇄골관절, 견갑골흉곽 활주기전 [광주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