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테니스엘보 - 병리적 양상, 병력, 주사치료,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고정, 테이핑 [광주 팔꿈치 수술 후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안녕하세요~

광주 북구 첨단 2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테니스엘보에 대해 알아볼까요?

테니스엘보는 굳이 따지자면 테니스 선수가 아닌 사람들에게서 발생하기 때문에 잘못 붙은 명칭입니다. 심지어 외측 팔꿈치통증을 호소하는 테니스 플레이어 500명 중 테니스엘보는 39.7%에서만 나타났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진료시에 보게 되는 모든 환자들 중에서 0.5%가 테니스엘보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이 상태는 올바른 정의를 내려야 할 만큼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병변은 손목의 신전 동작과 요측 편위를 담당하는 구조물에 존재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척측편위를 일으키는 구조물이나 손가락의 신전근에도 병변이 존재할 수 있으나, 훨씬 드물기 때문에 개별적인 명칭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병리적 양상

일반적으로 테니스엘보는 손목의 요측신전근의 반복적인 수축으로 일어나는 과도 현상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외상 후 원인들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초기 단계에 조직이 복구를 시도할 때, 종종 파열이 융합하려 할 때 지속적인 근수축이 치유되던 부위를 다시 찢어당깁니다. 그 결과로는 계속 반복되는 염증이 동반된 고통스러운 손상이 형성됩니다.

병력

30~60세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병변이 과도한 움직임의 결과이기 때문에 테니스엘보가 발생할 당시가 아닌, 수일 후에 통증을 느낍니다. 통증은 팔꿈치의 바깥쪽 면에서 시작해서 전완의 뒤쪽면으로 방사되며, 흔히 손등까지 이어집니다. 셋째손가락과 넷째손가락에서도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잡기, 꼬집기, 들기와 같이 손목의 신전 동작을 유발하거나 손목의 신전근들이 단지 관절의 안정화에 사용되는 움직임을 할 때 유발됩니다.

팔꿈치에 대한 검사 결과의 9/10는 음성이고, 1/10만 양성입니다. 위음성 결과를 피하기 위해선 팔꿈치를 완전히 신전 상태로 고정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주사치료

주사치료를 시행하면 동일한 기간 동안 치유가 되지만, 주기적으로 재발하게 됩니다. 스테로이드 때문에 자연적인 치유의 기전이 정지하였으므로, 이러한 현상은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 환자들은 도수치료를 받아야 하며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은 다른 치료 방법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Mill's의 도수치료

환자의 뒤에 서서 환자의 팔을 벌리고 내회전 시킨 후, 전완을 완전히 회내시키며 손목을 폅니다. 엄지손가락을 환자의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사이에 대서 환자의 손을 같은 편 손으로 붙잡아서 치료사의 엄지손가락이 환자의 손바닥에 위치하게 합니다. 결과적으로 손가락들은 손의 등쪽면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러한 위치가 되면 치료사는 도수치료 시에 환자의 손목을 완전한 굴곡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쪽 손을 팔꿈치머리 위에 댑니다.

양손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팔꿈치는 펴지게 되고 신전근들은 신장되게 됩니다.

치료사는 강제적으로 완전히 굴곡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환자의 손에 집중합니다. 도수치료가 진행되면서 체중이 실려 몸통이 팔꿈치에서 멀어져야 하며 이러한 위치에서 치료사는 환자의 팔꿈치와 손목을 필요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양손을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팔꿈치 신전 방향으로 재빠르게 밉니다.

몇몇 건섬유의 파열을 나타내는 수포음이 자주 들릴 수 있으며 도수치료는 진료 시 1회씩만 수행합니다. 대개 환자가 15회 정도의 치료를 받게 되면 치유가 되지만, 몇몇 경우는 20~30회가 필요합니다. 또한, 모든 건골막형 테니스엘보가 양호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체외 충격파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는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의 치료로 시도되고 있습니다. 환자는 1주 간격으로 3회씩의 0.08~0.12 mj/mm²의 500~3000의 충격파를 받게 됩니다. 결과는 내측위관절융기염에서보다 외측위관절융기염에서 더 양호한 듯합니다.

고정과 테이핑

팔꿈치에서 압박밴드를 전완의 몸쪽에 착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대응력을 위한 고정기의 역할을 하며, 완전한 근육의 팽창을 제한하여 전완 신전근의 예민한 부위의 내적 근력을 감소시킵니다. 그 결과 팔꿈치의 외측면에 있는 신전근의 작용부위가 외측관절융기에 있는 기시부가 아니라 밴드가 부착된 곳에서 작용하게 만듭니다. 이것은 손목 신전과 악력을 긍정적인 생물기계학적 효과로 향상시키므로 재발을 방지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테니스엘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더 유용한 정보 들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