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견쇄관절의 움직임 [광주 첨단2지구 어깨 수술 후 재활 중점 더나은병원]

어깨관절복합체 내에 있는 4개의 관절
1. 흉쇄관절
2. 견쇄관절
3. 견흉관절
4. 관절와상완관절

어깨의 움직임을 일으키는 관절은 흉골과 쇄골이 이루는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 견갑골의 견봉과 쇄골이 이루는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견갑골과 흉부가 이루는 가관절(Pseudo-articular joint)인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 마지막으로 상완골과 견갑골의 관절와가 이루는 관절와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로 이루어 집니다. 견봉하관절(Subarcromial joint)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5가지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어깨의 움직임은 이러한 관절들의 움직임으로 인해 인체에서 제일 자유롭고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각각의 관절에서 정상적인 움직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어깨의 움직임은 감소하게 되고 이는 어깨질환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각 관절의 움직임과 주변 근육의 작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운동과 재활을 하시면 건강한 몸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견쇄관절

 견쇄괄절은 쇄골의 외측단과 견갑골의 견봉 사이의 관절입니다. 견봉에 있는 쇄골면은 내측과 약간 상방을 향하고 있으며, 이는 쇄골에 있는 견봉면에 잘 맞도록 되어 있습니다. 견쇄관절에도 관절원판이 있어 충격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견쇄관절은 미끄러짐관절 또는 평면관절로서 자주 설명되는데, 이는 관절면들의 외형이 주로 편평하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 사람에서 관절면은 편평한 것에서부터 약간 오목하거나 볼록하기도 합니다. 주로 관절면들이 편평하기 때문에 구름의 관절운동형상학은 견쇄관절에서는 크게 나타나지 않고 주로 미끄러짐이 나타나게 됩니다.

견쇄관절의 안정성

견쇄관절은 관절주위를 둘러싼 결합조직에 의해 안정성을 제공 받습니다. 견쇄관절은 상관절낭인대와 하관절낭인대로 보강된 관절낭에 둘려싸여 있고, 상관절낭인대는 삼각근과 능형근의 부착에 의해 보강되게 됩니다. 오훼쇄골인대는 견쇄관절에 대한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게 되며, 능형인대와 원추인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능형인대는 오훼돌기의 상면에서부터 쇄골에 있는 능형인대선까지 상외측 방향으로 뻗어 있는 인대이고, 원추인대는 오훼돌기의 근위 기저부에서부터 쇄골에 있는 원추인대결절까지 거의 수직으로 뻗어 있는 인대입니다.

견쇄관절의 관절면에는 섬유연골층이 붙어 있으며, 완전 또는 불완전한 관절원판에 의해 분리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실제 관절들의 약 10%에서만 완전한 관절원판이 있다는 것을 밝혀졌습니다. 대부분의 관절들이 불완전한 관절원판을 갖고 있으며, 부서지거나 마모된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불완전한 관절원판은 구조적인 이상이 아니라 견쇄관절에서 일어나는 퇴행의 징후일 뿐입니다.

견쇄인대 및 오훼쇄골인대가 외상 등의 이유로 손상되는 경우 쇄골의 탈구가 발생이 되고 이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견쇄관절의 운동형상학

흉쇄관절과 견쇄관절 사이에는 확실한 기능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흉쇄관절은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쇄골의 운동을 허용하며, 이러한 운동은 견갑골의 운동경로를 안내하게 됩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견쇄관절은 미세한 운동을 허용하며 약간의 견갑골 운동을 인도하게 됩니다. 하지만 견쇄관절에서 나타나는 약간의 움직임은 생리학적으로 중요하며, 견흉관절에서 최대의 가동성 범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줍니다. 견쇄관절에서의 견갑골의 운동들은 3도의 자유도로 표현하며, 일차적인 운동은 상방회전과 하방회전입니다. 이차적인 운동은 흉곽에 대한 견갑골의 최종 위치를 확대시키거나 '미세하게 조율'하기 위한 회전적 조절운동입니다. 견쇄관절의 가동범위는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우며, 일반적인 임상적 상황에서는 수행되지 않고 어깨 관절 복합체의 전체적 움직임이나 견갑골의 움직임으로 측정하게 됩니다.

상방회전과 하방회전

견쇄관절에서의 견갑골의 상방회전은 쇄골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한 견갑골의 상외측 스윙으로 일어납니다. 팔을 머리 위로 올릴때 상방회전은 30도까지 일어나게 됩니다. 상방회전 동안 견흉관절은 전반적인 상방회전에 대한 확장성분으로서 기여하게 됩니다. 견쇄관절에서의 하방회전은 견갑골이 해부학적 위치로 다시 돌아오는 것을 말하며, 견관절의 내전이나 신전과 역학적으로 관계되는 운동으로 대부분의 자연적인 운동은 견갑면 내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견쇄관절에서의 완전한 견갑골의 상방회전은 관절면이 가장 가까워지는 잠긴위치가 되고, 이러한 운동은 견쇄관절의 하관절낭과 오훼쇄골인대를 신장시켜 움직임을 제한하게 됩니다.

견쇄관절의 수평면과 시상면에서의 회전적 조절

견관절의 움직임 동안 견쇄관절에서는 쇄골의 외측단에 대한 견갑골에서의 작은 축회전이나 비틀림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회전적 조절운동은 견갑골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율하거나 흉곽에 대해 허용된 견갑골의 전체 운동량에 첨가되게 되어 움직임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견쇄관절에 있어 수평면에서의 조절은 견갑골의 내측연이 수직축에 대해 흉곽의 측면쪽으로 축회전하거나 측면쪽에서 멀어지도록 축회전하는 운동을 유발하게 합니다. 견쇄관절에 있어 시상면에서의 조절은 견갑골의 하각이 내-외축에 대해 흉곽의 측면쪽으로 경사지거나 측면쪽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운동을 유발하게 됩니다. 회전적 조절은 10도와 30도 사이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견쇄관절에 있어 수평면과 시상면에서의 조절은 견흉관절에서의 움직임의 질과 양을 강화시킵니다. 견갑골의 전인동안 견쇄관절에서의 작은 수평면 조절은 흉곽의 만곡에 맞게 견갑골의 전면이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와 유사한 조절이 견갑골의 거상동안 시상면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회전적 조절이 없다면 견갑골은 흉곽에 대해 그 위치를 미세하게 조율하지 못하고 쇄골의 운동 경로만을 따라야 합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