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전기치료!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의 효과 [광주 북구 첨단2지구 더나은병원]

흔히들 전기치료라고 부르는 물리치료 중 하나인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는 최근에는 병원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할 정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는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패드를 통해 약한 전기 자극을 통해 통증 신호를 뇌로 전달하는 양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일정한 전기 자극은 신체를 자극하여 천연 진통제인 엔도르핀을 생성하는 것을 돕기도 합니다.


전기치료의 적응증 및 사용방법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는 생리통, 진통, 수술 후 통증, 관절 통증, 목과 허리의 통증 등의 통증 제어에 도움이 됩니다.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 기기에는 최적의 통증 조절을 위한 제어 장치가 있습니다. 전기적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는 강조 도절 장치와 초당 진폭을 나타내는 주파수의 주파수 조절장치입니다. 이러한 장치의 적절한 조절이 있어야지만 효과적인 통증의 제어가 가능해집니다. 보통 급성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 80~120㎐, 저강도로 시행하면 효과적이고, 만성통증의 경우에는 1~20㎐, 고강도로 시행하면 효과적인 통증 제어가 가능해집니다.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2014년 Carol 등의 시스템분석 연구에 따르면 높은 주파수에 고강도를 적용하는 것이 통증제어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결과도 있습니다.

경피신경 전기자극치료는 통증 완화를 위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통증 제어는 진통제 섭취 등의 약물 복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최근에는 휴대하기 편리한 기기들이 많아 휴대하며 수시로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의 적용 이후 통증 완화의 기간은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기기를 끄자마자 통증이 다시 돌아오는 사람도 있고 어떤 사람들은 최대 24시간 동안 적절한 수준의 통증 완화를 계속 경험하기도 합니다. 치료의 반복적 실행은 통증 완화 기간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지만 반복적 적용은 내성을 키울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기치료 시 주의사항

대부분의 전기치료 장비에는 특별한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발생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피부에 접촉하는 패드 관리를 적절히 하지 않거나 수분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따끔거림이나 피부 발적 등의 피부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 앞쪽에 전기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혈압을 낮추고 경련이 일어 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고 눈에 적용하는 경우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목 전방과 눈에 적용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임산부는 복부 및 골반 부위에 적용을 피해야 하고 간질환자의 경우 머리나 목에 전극을 부착하면 발작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심박조율기 또는 인체에 금속 삽입물이 있는 경우에는 전기치료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피적전기자극치료는 강력한 연구 결과는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많은 사람들에서 위험성이 낮게 통증을 완화해 줄 수 있는 통증 완화 장비입니다. 경피적전기자극치료를 매일 같은 빈도와 강도로 사용하는 경우 전기 자극에 대한 내성이 형성되어 같은 수준의 통증 완화를 느낄 수 없어 강도의 조절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료 중 주파수의 변조(낮은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의 혼합)를 통해 내성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해 주거나 치료 시간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주어야 합니다. 또한 패드의 위치는 자극점에 부착할수록 효과가 더욱 좋습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