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 신경근병증(cervical radiculopathy)은 목의 신경이 눌리는 현상으로 목에서 어깨, 견갑골, 팔, 손으로 방사되는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팔과 손 근육의 약증과 협응력 저하가 발생되기도 합니다.10만명당 85명 꼴로 발생이 되고 50대에서 호발하게 됩니다. 단일 손상보다는 반복적인 자극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고 운동선수, 진동기계를 사용하는 노동자에서 많이 발생됩니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오래하는 직업에서 목 관절에 관절염이 있는 사람에서도 발생되고 있습니다.
경추 신경근병증의 발생원인과 증상
경추 신경근병증은 목의 척수 근처의 신경근이 압박될 때 발생됩니다. 주요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관절염 및 노화에 따르 디스크 마모
- 외상이나 퇴행으로 인한 추간판탈출증
- 척추협착증(신경이 지나는 공간의 감소)
- 신경근을 압박하는 종양
경추는 7개의 척추뼈로 구성이 되고, 각 척추는 척추에 충격을 흡수하는 젤같은 디스크로 분리되어 있고, 척수는 뇌에 연결되어 척추관을 통해 꼬리뼈 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경추 신경근은 척수에서 분기되어 팔로 분지해 나가게 되어 팔의 감각을 뇌로 전달하고 뇌에서 내려오는 운동 신경전도를 팔에 전달하여 움직임이 이루어 지게 합니다. 신경근에 비정상적인 압박이 가해지면 그 가지를 따라 아래쪽으로 신경의 지배를 받는 모든 부분이 영향을 받게 됩니다. 운동장애, 감각이상, 통증, 근 약증등이 대표적인 장애입니다.
경추 신경근병증의 증상은 압박되는 신경근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통증의 양상은 갑작스러운 날카로운 바늘로 콕콕 쑤시는 통증이 나타나거나 둔한 통증, 무감각, 손저림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목, 견갑골, 어깨, 가슴 상부, 팔, 손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깨, 팔, 손의 근육에 약증이 나타날 수 있고, 천장을 버라보거나 어깨 뒤쪽을 돌아볼 때 통증이 유발되거나 증상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게 되면 신경의 긴장이 완화되어 증상이 감소되게 됩니다. 압박되는 신경근에 따라 아래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경주 6, 7번 신경근의 압박이 흔하게 발생되게 됩니다.
- 경추 5번째 신경근: 삼각근과 팔 위쪽의 약증, 상완 바깥쪽을 따라 어깨 통증과 감각이상
- 경추 6번째 신경근: 상완이두근과 손목을 펴는 근육의 약증, 전완부와 손의 엄지쪽의 통증과 감각이상
- 경추 7번째 신경근: 상완삼두근과 손목을 구부리는 근육의 약증, 중지와 팔의 후면의 통증과 감각이상
- 경추 8번째 신경근: 손의 쥐기 약증, 새끼손가락과 전완 내측의 통증 및 감각이상
건반사, 팔의 움직임, 증상이 나타나는 양상에 따라 신경근 압박부위를 예측할 수 있고, MRI를 통해 척수와 신경근을 포함한 신경의 압박 원인(추간판탈출증 등)을식별할 수 있습니다.
경추 신경근병증의 치료 및 관리
대부분의 초기 증상은 보존적인 치료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자세교육은 증상완화 및 재발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목에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고, 영향을 주지 않는 자세 교육과 작업 자세에 대한 교육과 수면시 자세교육을 통한 압박을 일으키는 일상 습관의 개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통증완화를 위해서 열전기치료 및 견인치료, 항염증제의 복용이 권장이 되고 목 주변 근육의 스트레칭이 도움이 됩니다. 도수치료를 통한 관절의 움직임 개선과 근육 등의 연부조직의 기능 개선이 도움이 되고 목의 안정화 운동 수행 후 적절한 강도의 목 근육 강화운동의 재활운동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경추 신경근병증에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과 운동입니다.
- 경추 회전근 스트레칭
https://www.youtube.com/watch?v=ISypy6pMfcE&t=10s
- 맥켄지 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V44dj96fd78&t=10s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