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스프린트(shin splint)는 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으리 불리며, 무릎과 발목의 사이 즉, 정강이에 통증이 유발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강이 안쪽의 근육과 뼈에 연결되는 조직이 자극을 받거나 경미한 손상을 받은 상태를 뜻합니다. 장거리 달리기선수, 단거리 달리기 선수, 농구, 테니스, 체조와 같이 달리고 점프하는 운동선수의 약 35%에서 발생됩니다. 딱딱한 신발이나 딱딱한 바닥에서 점프를 많이 하는 군인이나 무용수에서도 흔하게 발견됩니다.
신스프린트의 정의
신스프린트는 경골에 너무 많은 스트레스가 가해질때 발생됩니다. 경골에 부착된 근육은 뼈의 과부하를 줄 수 있고, 뼈에 부착된 부분에서도 긴장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이러한 근육에는 후경골근, 가자미근, 장지굴근이 있습니다.
신스프린트를 발생시키는 가장 흔한 요소에는 서있거나 달릴 때 발바닥아치의 붕괴되어 과회내되는 경우, 반복적인 점프 및 달리기, 과도한 고관절 움직임, 높은 체질량 지수, 이전의 다리 부상 등이 있습니다.
신스프린트의 증상 및 진단
신스프린트가 발생된 경우 정강이 안쪽의 중간 또는 아래쪽 1/3에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통증은 눌렀을 때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나고 운동 중, 후에 통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활동시 유발되고 휴식시 완화됩니다. 신스프린트가 진행중 일 때는 통증이 운동시작시 나타났다가 운동이 진행되면 통증이 완화가 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 수록 증상이 악화 될 수 있으며 운동전반에 걸쳐 통증이 나타나고, 운동 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신스프린트 진단시에는 걷기, 달리기, 점프 등 증상을 유발하는 행동에 대한 관찰 및 검사가 필요합니다. 근력, 유연성, 통증반응을 평가해야 하고, 가장 확실한 진단으로는 정강이 부분에 압통이 발생되는 지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신스프린트의 관리 및 예방
신스프린트가 발생된 경우 활동과 운동 중 휴식을 권장하고 하루 1~3회 10분 이내의 냉찜질, 정강이 주변 근육 스트레칭, 발의 아치를 형성시키는 테이핑, 손상 부위 마사지가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고관절 외전, 회전, 신전 근력을 강화하여 다리에 영향을 상쇄해주어야 하고, 발의 아치, 정강이 근육의 힘을 증가시켜 주어야 합니다. 재활운동으로는 종아리 스트레칭, 점프 및 착지의 수정된 기술교육, 걷기나 달리기 시에 다리나 발의 잘못된 동작의 수정이 필요하고 필요시 보조기나 아치를 받쳐주는 깔창 인솔 등의 변경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신스프린트에 도움이 되는 종아리 스트레칭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QqNto4QFQI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더나은 재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움직임과 충격완화역할을 하는 반월상연골 [광주 무릎반월판 수술 후 재활은 더나은병원] (0) | 2021.07.22 |
---|---|
어깨, 무릎 수술 후 초기 재활! 지속적 관절운동기기(CPM) [광주 어깨오십견 수술 후 재활은 더나은병원] (0) | 2021.07.21 |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재활 [광주 무릎 전방십자인대 재활과 도수치료는 더나은병원] (0) | 2021.07.17 |
어깨 움직임에서 오훼쇄골 인대의 역할 [광주 어깨오십견재활과 도수치료는 더나은병원] (0) | 2021.07.16 |
족하수 - 원인/증상/관리 [광주 허리 재활병원은 더나은병원] (0)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