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골(Ischial bone)은 Sitting bone(시팅본), Sit bone(싯본)이라고도 불립니다. 서있는 자세에서는 대부분 대둔근과 척추기립근이 직립 자세를 커버하여 자세를 유지하게 합니다. 좌골결절에는 대퇴근육인 햄스트링이 부착되어 있고, 앉은 자세 즉 무릎이 구부러지고, 고관절이 구부러지면 대둔근이 이동되고 좌골결절이 노출이 됩니다. 이렇게 앉게되면 좌골결절아래의 패딩과 점액낭에 의지하여 앉게 됩니다. 앉은 자세는 이동된 대둔근의 작용은 약해지고 좌골로 지지하여 앉은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이때 정확한 좌골로 지지하는 자세로 앉지 않는 경우 골반이 굴곡되고, 허리의 전만이 소실 되게 되고 이는 허리통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앉은자세의 위험에 대하여
서있을 때는 몸의 무게는 다리와 발을 통해 바닥으로 전달됩니다. 앉아 있을 때 무게는 좌골을 통해 의자로 전달되어야 합니다. 앉은 자세는 무릎 아래의 정맥 순환을 감소시키게 되고, 좌골이 아닌 다른 부위로의 압박이 발생되는 경우 사타구니와 허벅지 사이의 정맥을 압박하게 되고 이러한 압박이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순환 정체의 원인이 되고, 정맥 판막의 역할 수행을 저해하게 되고 이는 정맥류 형성을 초래하게 됩니다. 장기간 앉는 것을 혈액순환을 정체 시키기 때문에 자주 일어서거나 걷기를 수행해 주어야 하며, 수시로 다리의 스트레칭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좌골을 올바르게 앉는 것은 척추의 자세 유지 및 순환개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좌골을 정상적으로 지지가 안되게 앉는 경우, 즉 구부정하게 앉게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체 체중의 힘선과 요추 사이의 외적인 모멘트 팔을 증가시키고 이는 증가된 굴곡 회전력은 요추 추간판에 대한 압박력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골반과 요추의 앉기 자세는 척주와 두개골 정렬에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좌골결절로 앉지않고 허리가 굴곡된 자세로 앉는 경우 흉추와 하부 경추에서도 과도한 굴곡이 나타나게 되고 시각 보정을 위해 상부경추는 신전되는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 후두하근의 단축이 발생되고 흉추와 하부 경추의 기립근의 약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좌골결절로 낮은 바른자세를 유지하는데 대부분 어려움을 호소하게 됩니다. 허리의 기립근은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자세를 유지하는 게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자세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세에 대한 인식, 즉 좌골결절로 앉으려는 노력과 적절한 근육의 강화, 스트레칭, 요추부의 지지물, 인체공학적인 의자나 보조 도구가 도움이 됩니다. 수건을 말아 꼬리뼈에 넣는 것도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thebetterhosp/222399943992
목통증, 편두통에 효과적인 후두하근 스트레칭 [광주 목수술 후 도수치료는 더나은병원]
안녕하세요. 광주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목통증, 일자목, 거북목, 긴장성두통, 목이 뻐근할 때, 목을 ...
blog.naver.com
좌골점액낭염의 관리
점액낭은 관절의 힘줄과 뼈사이에서 쿠션역할을 하는 액체로 채워진 주머니입니다. 대부분의 관절에는 윤활작용을 위한 점액낭이 존재하게 됩니다. 점액낭은 반복적인 압박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특히 좌골점액낭은 딱딱한 바닥에 자주 앉으면 염증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좌골점액낭염의 증상으로는 골반 통증, 앉을 때 통증, 염증이 발생된 측으로 눕는 경우 통증, 발적과 부종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좌골점액낭염이 발생된 경우 항염증제를 복용하고 근육의 유연성을 증진시키는 이상근과 대둔근 스트레칭이 도움이 되고, 둔근 강화를 위한 조개운동 및 계단을 오르는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 이상근 스트레칭
https://www.youtube.com/watch?v=c77BwFBgg40
- 대둔근 스트레칭
https://www.youtube.com/watch?v=-nvWQde1hrI
- 조개운동 (둔근강화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fsIGOyauIJo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더나은 재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착성건초염 - 드퀘르벵 증상/원인/예방/스트레칭 [광주 손목 수술 후 재활 중점 더나은병원] (0) | 2021.07.28 |
---|---|
발목통증, 발목시림의 원인, 족근동 증후군!! [광주 발목 수술 후 재활과 도수치료는 더나은병원] (0) | 2021.07.27 |
잦은 발목염좌, 만성 발목불안정성을 위한 MBO수술 후 재활 [광주 발목 수술 후 재활과 도수치료는 더나은병원] (0) | 2021.07.24 |
허리통증과 다리저림, 좌골신경통의 원인 허리추간판탈출증 [광주 허리디스크 재활과 도수치료는 더나은병원] (0) | 2021.07.23 |
무릎움직임과 충격완화역할을 하는 반월상연골 [광주 무릎반월판 수술 후 재활은 더나은병원]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