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광주 북구 첨단 2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대해 알아볼까요?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중 완전파열이 가장 흔히 일어나는 구조물입니다. 이 부상은 대부분 운동선수들이 겪습니다.
스포츠와 관련된 전방십자인대 파열 80% 가량은 비접촉 손상에 의한 것으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시나 점프 후 착지 시 발생합니다. 비접촉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여성에게 조금 더 흔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전방십자인대가 없는 무릎관절)
- Levy와 Meier(2003)는 전방십자인대가 없는 무릎관절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뒤이어 생길 수 있는 반월판 파열 발생률은 손상 후 1년 내에 40%, 5년 내 60%, 10년 내 80%라고 하였습니다.
- Lohmander와 Roos(1994)는 33개의 관련 연구논문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골관절염 진행 억제에 대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유용성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있을 때 반월판 손상 유무는 골관절염의 진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 하지만 전방십자인대가 없는 무릎관절 환자 일부는 성공적인 보상기전으로 생리적 반응과 운동조절 전략이 발생합니다. Copers는 적어도 1년 이내 불안정성 없이 스포츠에 완전 참여할 수 있거나, 손상 전 활동 수준으로 돌아온 환자를 의미합니다.
- Nakayama와 Beard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전방십자인대가 없는 환자는 동요훈련 등의 재활훈련 후 동적 무릎관절 안정성과 기능이 훨씬 향상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수술적으로 치료했건 수술을 했건 전방십자인대 재건을 위한 전통적인 강화훈련과 함께 동요훈련을 시행해야 합니다.
최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대부분은 성공적이지만 모든 환자가 수술적인 재건술을 필요로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대해 현재까지 확고한 기준은 없습니다.
몇몇 연구자는 전방십자인대에서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 Fitzgerald등(2000)은 전방십자인대가 없는 환자의 비수술적 치료의 적절한 적응증에 대한 지침을 기술하였습니다. 일차적인 기준은 인대나 반월판 손상, 편측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다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간내 도약검사 결과가 손상받지 않은 다리의 80% 이상
2. 무릎 경과 조사 일상생활동작 지수 점수가 80% 이상
3. 무릎 관절 기능의 일반적 평가에서 60% 이상
4. 손상 이후 검사할 때까지 무릎이 꺾이는 일이 더 없었던 경우
Fitzgerald의 동요훈련을 통한 전방십자인대 재활집단의 성공률은 92%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계산된 공산비에 따르면 일반적인 전방십자인대 재활 강화훈련만 받은 경우보다 동요훈련을 받는 경우, 보다 높은 수준의 신체활동으로 성공적으로 회복할 수 있을 가능성이 5배나 더 클 것이라고 예측되었습니다.
Moksnes 등은 수준 Ib 연구(2008)를 통해, Fitzgerald의 선별 검사에서 잠재적 'noncopers'로 분류된 환자 70%가 비수술적 치료 1년 후 진정한 'copers'가 되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1. 이러한 연구자들의 견해는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의 경우 무릎관절 기능 호전은 단지 시간이 좀 걸린다는 것입니다.
2. Beynnon 등(2005)은 1년간의 경과관찰 결과, 초리 Fitzgerald 기준에 의해 noncopers로 분류되었던 환자 70%가 실제로는 cop-ers였다고 하였습니다. 비수술적 전방십자인대 치료가 가능한 다른 기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스포츠, 많은 신체활동을 필요로 하는 고위험도의 활동에 최소로 노출됨
- 40세 이상
- 고 위험도의 활동을 가능한 피하려고 함
- 전방십자인대가 없는 경우에 대해 성공적인 장기 대처와 적응이 가능함
- 해당 관절에 관절염이 진행되어 있음
- 수술 후 재활치료를 받을 수 없는 경우이거나 받으려는 의자 없음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일반적으로 육체노동을 많이 하거나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이 직업인 사람에게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추천됩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다른 적응증으로는 재활기간 중에도 반복적으로 무릎이 꺾이는 일, 반월판 파열, 다른 무릎관절 인대의 심한 손상, 일반적인 인대 이완, 일상생활 중의 반복적인 불안정성 등이 있습니다. 일단 수술적 재건술이 선택되면 여러 논란이 있는 부분들을 고려해야 하며, 이는 수술 시점, 이식의 선택, 자가이식 혹은 동종이식, 하나 혹은 두 개의 다발 고정, 고정 방법, 재활 프로토콜입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 후 스포츠 의학을 전공한 의사에게 재건술을 시행한 NBA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22%가 복귀하지 못했고, 복귀한 선수 중 44%는 재건술 후에도 활동 수준이 감소하였습니다.
전방십자인대 재활의 이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 프로토콜은 몇 가지 기본 원칙을 따릅니다.
- 완전한 관절가동범위를 회복하고, 관절 내 염증과 관절섬유증을 줄이기 위해 수술 전 부종을 완전히 없앰
- 완전한 수동 신전 회복에 초기 중점을 둔, 초기 체중지지와 관절 가동범위
- 사두근 및 햄스트링근 활동 조기 시작
- 근육 억제 및 위축을 제한하는 부종과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노력, 열린/닫힌역학적사슬운동의 적절한 사용. 초기 열린역학적 사슬운동은 약하고 미성숙한 전방십자인대 이식편에 손상이나 파열의 위험이 있으므로 피함
- 포괄적인 하지 근육 신장과 강화, 컨디셔닝
- 동요훈련을 포함한 신경근과 고유감각 재훈련
- 치료 목표 달성을 기반으로 한 점진적 발전
- 운동 복귀 전 기능검사, 기능적 스포츠 관련 교육 실시
* 무릎 강화에 도움이 되는 스쿼트 운동
https://www.youtube.com/watch?v=ehfAPkVkk-k&t=4s
* 대퇴사두근 스트레칭
https://www.youtube.com/watch?v=GGmmgB2r9s4
오늘은 전방십자인대 손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더 유용한 정보 들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더나은 재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획증후군 - 팔, 다리의 부종과 통증 [광주 골절 수술 후 재활과 도수치료는 더나은병원] (0) | 2021.06.19 |
---|---|
어깨팔통증, 손저림의 원인 - 상완신경총의 손상 [광주 목디스크 재활은 더나은병원] (0) | 2021.06.19 |
과학적 재활 - 균형능력 측정 관련 그리스대학과 협업연구 [광주 수술 후 재활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6.10 |
힘줄염, 근육통의 원인, 힘줄의 손상 - [광주 방아쇠수지수술 후 재활 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6.10 |
근육통, 근육파열, 근육염증, 근육의 손상 - [광주 회전근개봉합술 후 재활병원 더나은병원] (0)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