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무릎통증의 원인, 무릎연골연화증(Chondromalacia of Patella)의 원인, 증상, 치료!! [광주 무릎 수술 후 재활 더나은병원]

무릎연골연화증(Chondromalacia of Patella)신체적, 생체역학적 변화로 인한 전방무릎통증이며, 슬개골에 발생하여 슬개골 연골연화증이라고도 합니다. 슬개골 안쪽 표면의 관절 연골이 부드러워 지거나 부종, 손상, 미란과 연골 아래 뼈의 경화로 나타나는 퇴행성 변화를 말합니다. 무릎연골연화증은 젊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무릎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인구 중 4명 중 1명꼴로 발병율이 높은 편입니다. 주로 15~35세 사이에 활동량이 많은 사람에서 발생이 됩니다. 연골연화증은 그리스어로 연골을 뜻하는 chondros와 연화를 뜻하는 malakia의 합성어 입니다. 무릎연골연화증은 1906년 Budinger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무릎연골연화증의 발생원인과 증상

무릎연골연화증의 발생원인은 주로 역학적인 원인에 따릅니다. 슬개골은 대퇴골의 홈 사이를 미끄러지며 무릎관절의 역학적 효율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대퇴사두근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움직임이 유발됩니다. 대퇴사두근 중 외측광근과 내측광근은 무릎을 펴는 동안 슬개골의 위치를 중앙에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중 내측광근은 내측면에 있는 유일한 안정역할 수행자로 기능적 타이밍과 활동량이 슬개대퇴 운동에 중요하며, 작은 변화에도 슬개골의 위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내측광근의 약증이 발생시 슬개골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또한 외측에서 슬개골 위치를 지지하는 수동적 구조물인 장경인대의 장력 증가(대퇴근막장근의 단축 등의 원인에 의함)는 슬개골의 외측 압박을 통해 슬개골의 위치 변화를 이끌게 됩니다.

대퇴골의 전방 염전각과 내측 비틀림은 슬개골의 위치변화를 통해 연골의 손상의 원인이 되고, 대퇴사두근의 해부학적 경사각인 Q-angle은 골반의 전상장골극에서 슬개골 중심선과 경골결절에서 슬개골 중심선까지의 각도로 이 선들사이의 각도를 말합니다. 고관절의 내전 및 내회전이 증가하면 Q-angle은 증가하게 되고 무릎은 상대적으로 외반이 증가하게 되고 경골을 외회전시켜, 슬개골의 외측 접촉 압력을 증가 시키게 됩니다.

무릎연골연화증은 4단계로 구분이 됩니다.

1단계는 수직으로 배열된 콜라겐 섬유의 손상으로 관절 연골이 연화되고 부종이 발생된 상태로 연골이 스펀지 같은 상태를 말합니다.

2단계는 깊은 연골층과 표면층이 분리된 상태로 뼈에는 미치지 않는 1~3cm2 미만의 연골 균열이 보입니다.

3단계는 연골아래측 뼈까지 균열이 확장되고 슬개골 관절 표면의 50%미만의 연골 손상을 보이는 단계입니다.

4단계는 연골에 구멍이 발생되고, 연골아래 뼈가 노출되고, 슬개골 관절 표면의 50%이상의 연골 손상을 보이고, 골극의 형성도 보이게 됩니다.

무릎연골연화증과 골관절염의 차이는 무릎연골연화증은 주로 슬개골 관절면의 한쪽면에만 연화나 퇴행이 나타나게 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슬개골의 압박을 일으키는 동작인 달리기, 계단오르기, 쪼그려앉기, 무릎 꿇기를 할 때 무릎 전방에 통증이 발생됩니다. 슬개골의 내측 혹은 외측면에 압통이 발생되고, 특발성 연골연화증은 주로 어린아이와 청소년에서 나타나고 퇴행성 질환은 중년 이후에 나타나게 됩니다. 진단은 X-ray 촬영시 sky-line view로 확인 가능하고, MRI를 통해 확진이 가능합니다. 이학적 검사로는 슬개골을 압박해서 움직여 보는 Patella glind test에서 통증이 발생되게 됩니다.


무릎연골연화증의 치료 및 관리

무릎연골연화증의 치료의 주요 목적은 대퇴사두근의 수축동안 슬개골이 위치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초기 통증제어를 위해 슬개골을 압박하는 동작을 피하고, 냉찜질, 항염증제의 복용이 권장됩니다. 도수치료를 통한 관절의 움직임을 정상화하고, 재활운동으로는 대퇴사두근 중 내측광근을 강화시켜 주는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풀 스쿼트는 되도록 자제하고 재활이 완료되는 단계에서 시행하여야 합니다. 재활운동이나 활동시에 슬개골의 압박 감소를 위해 보조기의 착용이 권장될 수 있고,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의 스트레칭은 슬개골의 부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 수시로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존적인 치료에도 효과가 없다면 무릎의 정렬을 바로 잡아주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무릎연골연화증에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과 운동입니다.

 

 

 

 

- 대퇴사두근 스트레칭

 

- 햄스트링 스트레칭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