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낙상의 원인, 균형문제(Balance problem)[광주광역시 북구 수술 후 재활 더나은병원]

균형문제(Balance Problem)사람이 서거나 걸을 때, 심지어 앉아있을 때에도 자세를 유지하고 똑바로 서 있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균형문제는 나이가 들면 더 흔하게 발생이 되고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는 경우 낙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젊은 사람에서는 전정기관의 문제 뿐만 아니라 손상이나 수술, 고정 이후에 근육 등의 기타 연부조직의 문제가 있을 때에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균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신체의 상태 및 문제점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허리, 무릎, 발목 등의 하지를 수술한 경우 균형능력 회복을 위한 훈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균형문제의 발생원인과 증상

형문제는 사람이 움직이든 가만히 있든 안정적이고 똑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움을 겪을 때 발생되게 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항중력근의 근육약화, 관절의 경직 및 감소된 움직임, 전정기관 문제, 우울증이나 고혈압약 등의 복용, 신체활동이 부족하거나 너무 오래 앉아만 있는 경우, 노화 등이 있습니다. 또한 뇌졸중,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외상성 뇌손상, 관절염, 척수손상, 인지질환, 당뇨병 등의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균형문제는 신체의 다섯가지 시스템 중 하나 이상이 제 기능을 할 수 없을 때 발생되게 됩니다. 시각적 문제는 주로 연령이나 시선 추적 장애, 안구 질환에 의해 발생되고, 인체의 균형감감을 느끼는 전정기관의 문제는 외상, 노화, 영양부족 도는 질병에 의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근육체계의 문제로는 손상 후 고정이나 정상적인 회복이 되지 않은 상태, 적절하지 않은 운동이나 저사용으로 인한 근력과 유연성의 소실을 들 수 있습니다. 고유수용성 감각은 신체 위치감각을 받아들이는 감각으로 외상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감각이 유입될 수도 있습니다. 순환장애로는 기립성 저혈압, 심장문제, 탈수 등의 문제로 인해 균형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한 5가지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감각이 뇌에 올바르지 못한 신호를 보내게 되면 근육은 균형을 잡기 위한 올바른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이 제한되게 됩니다.

균형문제가 있는 사람은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일어서려고 할 때 비틀거리거나 걸을 때 비틀거리거나 걸려넘어지거나, 균형을 잡지 못하고 기우뚱하는 증상, 현기증, 어지러움, 떨어질 거 같은 느낌, 실신, 떠나니는 듯한 느낌, 흐린시야의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앉아 있거나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는 등의 멈춰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정적 균형이라 하고 다른사람에게 말을 하면서 고개를 돌리며 걷는 다거나 어두운 곳에서 걷는 등의 움직이는 상태에서 균형을 잡는 것을 동적 균형이라 합니다. 동적균형은 시각, 전정, 신체위치감각 등의 다양한 감각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균형문제를 경험한 사람들은 일상생활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되고 그결과 무리한 동작이나 힘든 활동을 피하게 되고 이는 더욱 저활동에 의한 균형문제를 초래하게 됩니다.


균형문제의 치료 및 관리

균형문제가 발생된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원인을 찾는 것입니다. 다양한 검사를 통해 근육과 관절의 문제인지, 전정기관의 문제인지, 시각 추적능력의 문제인지, 고유수용감각의 문제인지, 순환의 문제인지를 확인하여 적절한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재활운동을 통해 근육과 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의 문제가 있을 때 관리하는 방법과 균형능력을 회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균형문제의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하지의 근력증가, 스트레칭을 통한 유연성 회복, 사지의 위치 인식, 시각 추적 훈련, 전정기관 재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정적균형과 동적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도수치료를 통한 관절의 움직임을 정상화 하고, 스트레칭을 통한 유연성을 회복하여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신체에 균형문제로 인해 자세 변화가 생겼을 때 빠르게 대체하도록 훈련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균형훈련은 다양한 지지 기반의 변화 즉 딱딱한 바닥에서의 훈련과 발란스패드 등의 불안정한 바닥에서의 훈련을 시행할 수 있고, 한다리로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사지를 움직이는 등의 동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눈을 감고 한다리로 서는 등의 시각적 감각을 제외하고 전정기관과 고유수용성 감각 만으로 균형능력을 유지하는 훈련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균현감각 훈련이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균형문제 회복에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과 운동입니다.

 

 

 

-

 

 

 

 

- 대퇴사두근 스트레칭

 

- 내전근 스트레칭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