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나은 재활

재활원리 - 근수축의 종류, 정적수축, 신장성수축, 단축성수축 [광주 첨단 도수치료 병원 더나은병원]

안녕하세요.

더나은병원입니다.

오늘은 재활과정에서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재활원리 중

근수축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근수축의 종류에는 크게 등척성수축(정적수축), 등장성수축과 등속성 수축으로 구분이 되고, 등장성수축은 다시 신장성수축(원심성수축), 단축성수축(구심성수축)으로 구분이 됩니다.

등척성수축(정적수축)

등척성(정적) 수축이란 관절의 움직임 없이 근육을 수축하여 장력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팔꿈치를 구부리고 무거운 물건을 들고 서있는 상태에서 상완이두근은 등척성 수축을 유지하는 상태가 됩니다. 등척성 훈련은 시간 소요가 적고 특별한 장비가 없이도 수행할 수 있고, 근육의 통증을 거의 일으키지 않습니다. 다만, 전범위의 근력 개선이 어렵고, 여러각도에서 근력을 개선하려면 오히려 시간이 더욱 수모가 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등척성 수축 동안 근육으로의 혈류가 차단되기 때문에 혈압이 급격히 상승되게 되고 근력 증가의 효과는 등장성이나 등속성운동에 비해 효과가 적습니다. 위의 장단점에 의해 등척성 훈련 프로그램은 주로 재활 초기에 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등장성 수축 - 신장성수축(원심성수축)과 단축성수축(구심성수축)

등장성 수축이란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는 일정한 상태로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수축을 단축성 수축(구심성수축)이라 하고 근육의 길이가 늘어지는 수축을 신장성수축(원심성구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덤벨을 쥐고 팔을 구부릴 때는 단축성 수축, 팔을 펼 때는 신장성 수축을 하게됩니다.

등장성이란 동일한 장력을 의미하지만 관절의 위치에 따라 근육의 장력이 변화되므로 근육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뜻 보다는 외부의 저항이 일정함을 뜻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등장성훈련은 가장일반적인 근력훈련방법으로서 등척성 훈련과는 다르게 관절의 전범위 근력강화가 가능하고 근육 뿐만아니라 신경의 적응 또한 유도하게 됩니다. 저항량이나 운동방법의 변화가 쉬워 운동에 대한 흥미 유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운동방법 및 저항량의 잘못된 조절은 상해의 요인이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의 교대로 진행하는 운동은 순발력과 민첩성을 강화하는 훈련으로 주로 플라이오메트릭운동이 여기에 포함이 됩니다.

등속성 수축

관절각이 동일한 각속도로 운동하는 수축을 말합니다. 등속성 운동은 관절의 전 범위 운동이 가능하고 근육에 최대의 부하 적용도 가능하고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특수 장비에서만 시행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재활과정에서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재활원리 중

근수축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더욱 알찬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pf.kakao.com/_mWvxfxb

 

 

더나은병원

The better your life! 더나은 재활클리닉/더나은 피부클리닉

pf.kakao.com

 

 

728x90